국내에 운전 면허증을 소지하고 운전하는 경우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는 2013년 8월 1일 부터 경찰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1년 간 무 위반 무사고 준수 서약 내용을 지키면 마일리지를 부과하여 이후 면허정지 처분 시 누적 마일리지 만큼 벌점을 감경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신청하면 무 위반, 무 사고일 경우 1년에 10점 씩 적립되며 면허정지 처분 시 면허 벌점, 정지 일수 10점에 10일로 감경이 됩니다. 운전자라면 알아야 할 착한 운전 마일리지 조회 및 인터넷 신청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란?
2013년 8월 1일 경찰청에서 시행하는 제도로 운전자가 무 위반, 무사고 서약서를 작성하고 1년 간 무위반ㆍ무사고 준수 서약 내용을 지키면 받을 수 있는 점수인데 다음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1) 운전자가 무위반, 무사고 서약서를 작성하고 그 내용을 1년간 지키면 마일리지가 10점 적립되는 제도입니다.
2) 여기에서 10점은 정지일 수 10일과 동일하게 계산되며 최대 50점까지 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습니다.
3) 무위반이란 서약 기간 내에 면허취소, 정지 처분, 범칙금 통고처분, 과태료 처분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4) 무사고란 서약 기간 중 사람을 사망 또는 상해에 이르게 하는 교통사고를 유발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5) 면허증을 가지고 있는 운전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습니다.
6) 1년 동안 무위반 무사고 서약서 내용을 실천하고 10점을 받았다면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7) 범칙금, 과태료 미납자는 미납 문제 해결 후에는 적립 가능합니다.
8) 음주운전, 교통 사망사고, 난폭 및 보복 운전은 제한됩니다.
1. 신청 자격
면허증이 있는 운전자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1년 동안 무 위반 무사고 서약서 내용을 실천하고 마일리지 10점을 받았다면 다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약 기간 중 부득이 무 위반, 무 사고를 실천하지 못했다면 그다음 날부터 다시 서약을 신청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2. 혜택 및 적립, 사용 제한
이것을 신청하게 되면 무 위반, 무 사고일 경우 1년에 10점씩 적립되며 적립된 점수는 면허정지 처분 시 면허 벌점, 정지일 수(10점에 10일)로 감경이 됩니다. 최대로 받을 수 있는 마일리지 점수는 50점입니다. 범칙금, 과태료 미납자 적립 제한(미납 문제 해결 후에는 적립 가능) 되고 음주운전, 교통 사망 사고, 난폭 및 보복 운전 (2019년 6월 13일 부터 시행)은 제한됩니다.
3. 접수 방법
면허를 보유한 운전자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본인 확인 후 서약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면 됩니다.
1) 오프라인은 전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면허증 또는 신분증 지참)에 방문하여 신청
2) 온라인은 경찰청 교통 민원24, 정부 24 (공동인증서 필수)에서 신청


3) 모바일
4. 신청 방법
착한 운전 마일리지 제도는 다음과 같이 인터넷 신청과 방문 접수 신청 2가지 신청 방법이 있습니다.
1) 경찰청 교통 민원24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착한 운전 마일리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인증 방법을 선택 후 로그인 합니다.

4) 범칙금, 과태료 미납이 있으면 서약 불가능하며 미납이 없는 분들은 신청 버튼 눌러주면 신청이 됩니다.
5. 조회 방법
1) PC 조회 경찰청 교통 민원24 에 접속해 운전면허, 조사예약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으로 들어가서 공인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등으로 본인 인증을 하면 특혜점수(적립 마일리지) 부분에서 적립된 마일리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모바일 조회 스마트폰으로 조회하고 싶은 경우 구글스토어에서 교통 민원24(이파인) 앱을 설치 후 공동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등으로 본인 인증 후 메뉴에서 운전면허, 조사예약에서 착한 운전 마일리지 신청으로 들어가면 PC 에서 처럼 적립된 마일리지 조회가 가능합니다.
6. 마일리지 적립 방법 및 사용 방법
1) 착한 운전 마일리지는 서약 신청하고, 다음날부터 1년 동안 교통사고 유발이나 교통 법규 위반 없이 서약을 잘 유지하면 마일리지는 1년에 10점 씩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2) 착한 운전 마일리지는 한번 신청으로 계속 지속되는 것이 아니라 1년마다 재신청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년 잊지 않고 갱신하시는 것이 중요하고 만약에 서약 실천 기간에 교통사고를 유발하거나 교통법규를 위반했다면 그다음 날부터 다시 서약 신청을 하면 됩니다.
3) 사용 방법은 교통법규를 어기게 되어 경찰서에서 조사를 받을 때 착한 운전 마일리지를 사용 의사를 조사관에게 말해 주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7. 벌점 기준
다음 교통사고에 따른 벌점 기준표입니다.



이상으로 착한 운전 마일리지 조회 및 인터넷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안전 운전이 우리 가족을 지킵니다!!